안녕하세요~ 이번에 소개드릴 주제는 "일상의 소소한 재테크"입니다.
저는 아직 회사를 다니는 것도 아니라 큰 돈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
그렇기 때문에 더욱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아요
그래서 티끌을 모으는 것을 정말 좋아하고 이 정보가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해
제가 모으는 티끌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해요
■ 통신사(SKT)
통신사의 경우에는 제가 좀 비싼 요금제를 쓰고 있어 이상하게 받아들이실 수 있는데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맞습니다. 알뜰폰을 사용하시는게 무조건 요금이 더 저렴하실거에요
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가족이 T로 묶여있기 때문에 이게 변경하는게 쉽지 않더라구요
이런 경우에 어떻게 혜택을 볼 수 있는지를 말씀드릴게요
제가 이용하고 있는 요금제는 5GX 프라임입니다.
1. 요금제
요금부터 말씀드리면 기본 월정액이 89,000원입니다.
하지만 선택 약정 반영시 66,725원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.
이게 뭔지를 말씀드리면 핸드폰 약정을 1년 거는 것입니다.
곧 휴대폰을 바꾸실 분은 적용하기 어려우실 수 있지만 핸드폰 바꾸실 생각이 없으신 분들의 경우에는
어차피 사용할 1년 약정만 걸었더니 한달에 22,275원씩 혜택을 볼 수 있구요
1년으로 계산해보면, 22,275*12 = 267,300원으로 적지 않은 금액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굉장하죠??
2. 요금제 혜택
위의 혜택 상으로는 FLO가 70%로 나와있는데 제가 계약할 당시에는 100% 제공으로, 저는 현재도 100% 무료로 이용하고 있습니다.
위의 이용금액을 보면 첫 달을 제외하면 한 달에 7,900원이죠.
7,900*12 = 94,800으로 1년에 상당한 금액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.
이러한 혜택 이외에도 제휴 업체의 경우에도 할인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면 롯데시네마 영화 무료 티켓, CU 혹은 세븐일레븐 결제 금액의 10%할인 등 생각보다 자주 가는 가게에서 받을 수 있는 할인이 많습니다.
T멤버십 어플을 이용하면 혜택을 확인하고 이용까지 가능합니다.
저도 100% 활용을 하지는 못했지만, 인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
연간 누적 86,450원, 86,450/10 = 약 8,645원 정도를 매달 할인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(현재 10월까지 받은 할인 내역입니당)
다시 계산을 해보면,
89,000 - (22,275 + 7,900 + 8,645) = 50,180원 정도로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할인된 요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여기에 앞에서 말씀드리지 못한 스마트워치 데이터 연동 기능 등의 가격을 고려하면 사실상 4만원도 안되는 가격으로 이용 가능합니다. 저의 경우 이 요금제가 아니였어도 사용했을 요금들을 기준으로 책정을 했지만 더 많은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겠죠.

그렇습니다. 모르면 다 냈어야 할 금액입니다.
아쉽게도 통신사에서는 이런 혜택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지 않고
스스로 찾아보고 지금이라도 할인을 받으실 수 있는 여러분이 되시면 좋겠습니다.
■ 앱테크
제가 소개드릴 앱테크는 두 가지입니다.
1. 은행 어플에서 제공하는 혜택입니다.
1) 출석체크
2) 퀴즈
3) 걷기
국민은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.
해당 혜택 부분은 은행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.
출석체크
- 1~100p 랜덤으로 지급 (KB Pay) -> 일반적으로 평균을 10p로 가정
- 주 최대 3회까지 1~100p 랜덤으로 지급(KB 스타뱅킹) -> 일반적으로 평균 10p로 가정
퀴즈
- 정답 10p
- 별별퀴즈 정답 50p(수요일만)
걷기
- 주 50p
- 월 일반적으로 30p (랜덤)
다음과 같은 혜택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
매일매일 출석하는건 비현실적이니 보다 현실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.
분명 랜덤이지만 확률이 있기 때문에 값도 일반적인 평균을 기준으로 계산하고
일주일 7일 중에 5일만 출석을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그렇게 일주일을 계산하게 되면
10*5 + 10*3 + 10*5 + 50 + 50 = 230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정도면 굉장히 소소하죠??
한달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면
230*4 + 30 = 950원입니다.
그럼 일년으로 계산하면 어떨까요?
950*12 = 11,400원 입니다.
아직도 와닿지 않는 분들을 위해 은행 예금으로 비교해 보여드릴게요.
예시였던 국민은행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.
일반적인 예금 이율이며, 1년 이율이 0.95%이네요.
그럼 우리가 은행 예금으로 11,400원을 받기 위해서는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요??
11,400/0.095 = 1,200,000원으로 120만원이네요.
저희가 120만원을 고정적으로 예금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11,400원이 나옵니다.
저는 신한은행, 국민은행 두 은행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하구요.
제가 받았던 금액을 예시로 말씀드려볼게요.
신한은행의 경우에는 49,576원을 사용을 해 잔액이 없어서 내역을 보여드리구요
국민은행의 경우에도 36,893원이 잔액으로 남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이 돈들이 분명 작은 금액일 수 있지만, 저는 충분한 가치를 지닌 돈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두 은행에서 진행을 하는 저는 일년 동안 240만원을 예금한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이겠죠??
2. 캐시워크
은행 어플의 걷기와 똑같아요. 그냥 걸은 수만큼 돈을 적립 받는 형식입니다.
100보마다 1원씩 지급을 해줍니다.
이 앱 역시 굉장히 쏠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죠.
(이걸로 숙취해소제 사먹으면 돈도 안아깝고 너무 좋더라구요 ㅎㅎㅎㅎ)
무튼 걸음으로 세 가지 앱에서 저는 동시에 돈을 지급받습니다.
다른 분들은 이걸 누르고 받는 시간이 너무 아깝다 하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.
위에서 말씀드린대로 제가 아직 융통하는 돈이 작아서인 것도 분명 맞지만,
사실 이동시간 짜투리 시간에 아무 생각없이 클릭정도는 할만 하지 않을까요??

이상으로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 할게요~
모두 돈 많이 벌고 행복하세요~
'돈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재테크] 알뜰교통카드 총정리 (1) | 2024.02.13 |
---|---|
[재테크] 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 (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정리) (1) | 2024.02.08 |
[재테크] 카카오뱅크 한달 적금 솔직후기 (1) | 2024.02.06 |
[재테크] 카카오뱅크 적금 소개 (with 한달 적금, 26주 적금, 저금통) (2) | 2023.11.15 |
[환율 투자] 엔화 투자 시작(with 트래블 월렛) (0) | 2023.11.07 |